본문 바로가기

국내기업 분석 정리

엘앤에프 기업 분석 및 목표주가 정리

엘앤에프 기업 분석 및 목표주가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엘앤에프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개요와 투자정보 그리고 실적 등을 살펴보고 향후 주가 전망에 영향을끼칠 이슈들과 목표주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하기전!  금일 증권가에서 나온 최신 정보 아래링크를 참고해주세요!

-

 

 

 

 

 

 


기업 정보

▲△

엘앤에프은 어떤 기업인지 먼저 정리해보고, 이어서 투자정보도 살펴보겠습니다. 엘앤에프의 시총은 5조 5,907억원이고, 시총 순위는 코스피 65위이며, 총 상장주식수는 36255993주 입니다. 그 밖에 PER, EPS는 각각 N/A l -5,372원이며, 동일 업종 PER이 53.06배인 것을 고려해서 현재 엘앤에프의 PER과 비교해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현재 한 주당 배당금은 약 원 이며 그에따른 시가 배당률은 % 입니다. 그럼 이어서 엘앤에프의 재무실적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무 살펴보기▼

▲△

엘앤에프의 재무를 살펴보면 전년도 매출액은 46441억원이고 영업이익 -2223억원, 당기순이익은 -1949억원을 기록했었습니다. 전년도 부채비는 201.94% 정도 지고 있습니다. 이어서 엘앤에프의 매분기 실적도 검토해 보겠습니다. 전분기 매출액은 6576억원이고 영업이익은 -2805억원이었습니다. 그에따른 당기순이익은 총 -2847억원을 기록했고, 부채비는 201.94% 입니다.


▼주가 흐름 보기▼

▲△

엘앤에프의 1년간 주가 흐름을 분석해보겠습니다. 엘앤에프 주가가 최고가를 기록했을때와 최저가를 기록했을때의 주가는 각각 318,000 l 127,900 이었습니다. 엘앤에프의 5년, 10년 차트를 보시면서 현재 엘앤에프의 흐름을 파악해보시는것도 투자에 큰 도움이 되실겁니다. 이어서 엘앤에프 목표주가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업 이슈▼

▲△▲

 

 


▼목표주가 제시▼

▲△

증권사별로 엘앤에프의 목표주가는 어떻게 추정하고 있는지와 투자의견은 어떠한지 살펴보겠습니다. 가장 최근에 증권사 삼성에서 설정한 엘앤에프 목표가는 200000원이고 투자의견은 'BUY'로 설정해놨습니다. 이전에 설정한 목표가 220000원, 300000원도 투자에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향후 주가전망▼

▲△

동사의 1분기 24년 매출액은 6,357억원이고 영업적자는 2,03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4분기 출하량이 낮았던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Mix별로 고른 판매 신장이 있었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NCM90의 출하량은 +27% QoQ, NCM523은 +15% QoQ 증가했는데, 이는 주력 최종 고객사의 신규 차종 양산 Scale-up 및 배터리 내재화 속도 가속화 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다만, 판매단가는 국내 경쟁사들과 마찬가지로 하락했으며(평균 ASP는 -18% QoQ), 이로 인해 재고평가 손실금액은 -832억원으로 반영되었습니다.

동사의 낙관적인 관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낮았던 기저효과를 감안하더라도 분기별 출하량은 증가했습니다. 둘째, 원재료 가격이 안정화되면서 활발한 재고확보 움직임이 있었습니다. 동사는 차분기 출하량 가이던스를 최대 +30% QoQ 증가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23년 12월 월간 수출중량을 기준으로 국내 양극재 기업들의 실질적인 바닥을 확인하고, 해당 시점 이후 대구시(엘앤에프)의 양극재 수출 증가량이 국내 평균치를 상회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1Q24를 기점으로 재고평가 손실은 마무리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동종 업계 평균단가의 하락으로 인해 2~3Q24에는 적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반기에도 낙관적인 Q/P 전망에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동사는 하이니켈 기술 선도 및 양/음극재 등의 신규 사업으로의 확장성을 강조하여 경영활동에 대한 톤을 상향조절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고객사와의 4680 전지용 하이니켈 양극재 공급계약 확정에 대한 기대감과 신규 고객사 확보를 위한 수주 진행 상황을 시장과 공유하고 있습니다.

향후 실적 방향성에 따른 단계별 펀더멘털 회복과 신규 공급계약 등의 모멘텀은 중장기적으로 사업가치 저평가를 해소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일 증권가에서 나온 최신 정보 아래링크를 참고해주세요!

-

 

 

 

 

 

 


※ 해당자료는 단순 참고자료이며, 투자에 대한 책임은 각자 본인에게 있습니다